스포츠 비즈니스/NCAA

NIL 소개 #2

Juroomie 2024. 9. 21. 02:45

앞서 다뤘던 NIL 설명의 연장선이 되는 글입니다.

 

NIL(Name, Image, Likeness)의 여파로 돈이 몰리는 Football & Basketball을 필두로 미국의 College Sports는 엄청난 과도기를 겪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NIL 때문에 그동안 얼마나 많은 선수들이 이 시장에서 학교와 NCAA에 의해 착취당했는지, 그리고 그들이 얼마나 저평가되었는지가 분명해졌습니다. 이전 글에서도 언급했듯이, 많은 슈퍼스타 선수들이 TV 광고와 개인 스폰서십을 통해 많은 수입을 올리고, 그 외에도 수많은 선수들이 NIL 계약을 체결하면서 자신들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만, 필자는 현재의 NIL 구조와 행태는 지속가능한 모델이 아니라고 생각하며, 이 구조적 결함이 리그의 장기적인 흥행과 성공에 상당한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됩니다.

 

NCAA는 NIL을 허용하면서도 NIL이 선수의 영입 유인책 혹은 Pay-for-Play와 같은 퍼포먼스에 대한 대가의 형태로 지불되어서는 안된다고 명시했지만, 우려했던 문제들이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NIL 계약 중 일부는 실제로 선수들을 특정 학교로 유인하기 위한 수단으로 쓰이고 있고 일부 팬들과 학교의 부유한 기부자(Donor)들이 그들이 원하는 선수를 본인의 학교 선수로 영입하기 위해 NIL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채용방법인 NIL Collective에 대해서는 추후에 설명) 학교에 소속된 코치 및 관계자는 학교의 소속된 직원으로서 그들의 급여 수준이 공개되지만, NIL딜의 경우, 개인 혹은 사기업과의 사적 거래이기 때문에 구체적인 계약 내용이 공개되지 않습니다. 그로 인해, 이러한 계약이 진짜 NIL 계약인지 혹은 그저 금전적 보상을 위한 수단인지 알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면, 자본력이 있는 학교들이 우수 선수들을 독점해 Competitive Balance(팀들 간 밸런스)가 붕괴되고, 이는 곧 전체 리그 인기의 하락을 불러와 리그 전체 수익을 악화시킬 것이라 예상됩니다.

 

NIL 내용을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서는 NIL Collective(NIL 단체? 집단?)라는 개념을 알아야 하며, 이 개념은 다음 글에서 소개하겠습니다.

'스포츠 비즈니스 > NCAA' 카테고리의 다른 글

NIL Collectives에 대한 설명  (1) 2024.10.06
<대학 미식축구의 NIL 도입: 전통과 가치의 변화>  (5) 2024.10.03
NIL 소개 #1  (2) 2024.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