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통계/야구 통계

투수 지표 기초 편

Juroomie 2024. 9. 27. 09:28

1. ERA -  평균자책점 / 방어율 (Earned Run Average)

 

한 투수가 9이닝 당 내준 평균 자책점을 의미한다.

 

공식: 평균자책점 = 자책점 / 게임(9이닝) 

                            = 자책점 / (이닝 / 9 ) 

 

2. WHIP - 이닝당 볼넷 및 안타 허용률 (Walk plus Hit Per Inning Pitched)

 

피안타 수와 볼넷 수의 합을 투구 이닝으로 나눈 수치다.

안타와 볼넷은 포함되나, 몸에 맞는 볼은 포함되지 않는다.

보통 1.0 ~ 1.2 사이의 WHIP를 굉장히 안정적인 수치로 본다.

 

3. RA9 - 9이닝당 평균 실점(Run Allowed Per 9 Innings Pitched)

 

투수의 9이닝당 평균 실점.

평균자책점과는 다르게 모든 실점을 기준으로 한다.

공식 : RA9 = (Run Allowed / IP) * 9

 

4. K/BB - 볼넷 삼진 비율(볼삼비)

 

볼넷과 삼진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다. 

공식 : K/BB

보통 3이상이면 좋은 수준의 볼삼비라고 볼 수 있다.

 

5. FIP - 수비 무관 평균자책점(Fielding Independent Pitching)

타자의 안타에 운이 작용하듯이, 투수의 피안타와 실점 또한 당연하게도 운이 작용한다. 

운과 팀 수비 역량의 영향을 많이 받는 ERA와는 달리, FIP는 투수 한 사람의 능력을 더 정확하게 평가하고자 만들어낸 지표다.

 

공식 : FIP = (13 * 피홈런 + 3 * 허용 볼넷 수 - 2 * 탈삼진) / (이닝) + 상수

 

FIP 공식

여기서 상수는 매해 리그의 득점 환경에 따라 조정되며, 리그 평균 ERA와 FIP를 같은 값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공식에서 알 수 있듯이, FIP는 피홈런, 허용 볼넷, 탈삼진만을 고려해 계산된다. 투수 고유의 능력은 수비 변수가 전혀 없는 위의 세 가지 요소이기 때문이다. 

ERA와 유사하게 3.5 이하면 좋은 투수라고 평가된다.

좋은 지표이긴 하지만 한계점도 명확하다.

  • 시대와 구장 크기 등 득점 환경을 고려하지 않는다.
  • 투수의 수비는 고려되지 않는다.

 

 

 

 

 

'스포츠 통계 > 야구 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atcast 투수 지표 설명 1편  (0) 2024.10.01
타자 지표 기초 편  (0) 2024.09.29